청년정보방

🧾 IRP, 퇴직연금… 꼭 해야 하나요? 청년 월급쟁이의 노후 준비법

JJONG♥ 2025. 3. 21. 11:18

안녕하세요!
오늘은 조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,
바로 **IRP(개인형 퇴직연금)**과 퇴직연금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. 😶‍🌫️

사실 저도 처음엔 이 단어들만 보면 머리가 아팠습니다.
“그거 나이 많은 사람들만 하는 거 아냐?”
“지금 당장 쓸 돈도 부족한데 무슨 노후?”

그런데요… 이걸 빨리 시작한 사람이 나중에 웃더라고요.
왜냐하면, IRP는 세금을 줄여주고 미래를 지켜주는 재테크거든요!


✅ IRP란 무엇인가요?

IRP =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
즉, 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입니다.

한 줄 요약하면,

노후 대비용으로 내가 따로 만들어두는 연금 통장!

✔ 연금 수령 전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고
✔ 나중에 60세 이후에 연금처럼 나눠서 받는 구조

📌 회사 퇴직금 계좌로도 활용 가능하고,
직장이 없어도 개인적으로 개설 가능해요!


💰 얼마나 세금 혜택이 있나요?

IRP 납입금은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!
연말정산 시 환급금으로 13.2%~16.5% 돌려받기 가능!

📊 예시:

연간 납입금환급 예상액
300만원 약 39만~49.5만원
500만원 약 66만~82.5만원
700만원 약 92만~115.5만원

👉 돈을 쓰는 게 아니라, 나중을 위해 옮겨두는 것!
그리고 세금까지 돌려받는 효자통장입니다. 😎


📅 언제부터,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?

언제든지 시작 가능합니다!
하지만 빠를수록 유리합니다.

👉 추천 루틴

  • 월급에서 월 25만원씩 자동이체 설정 (연 300만원)
  • 연말정산에서 13.2% 환급 받고, 투자 수익도 챙기고
  • 투자로는 안정적인 ETF나 채권형 펀드 활용

📌 IRP vs 연금저축, 뭐가 다른가요?

항목IRP연금저축
세액공제 한도 연 700만원 연 400만원
가입 가능 대상 누구나 소득 있는 사람
중도 인출 제한적 일부 가능
투자 선택 가능 가능

👉 두 개 다 가입해서 세액공제 극대화 가능!
(연금저축 400 + IRP 300 = 연 700만원 한도 채우기)


🏦 어떤 금융사에서 가입할 수 있나요?

  • 주요 증권사: 삼성증권, 미래에셋, NH투자, 키움 등
  • 주요 은행: 신한, 국민, 하나, 우리, 농협 등

👉 금리 + 수수료 + ETF 투자 가능 여부 비교 후 선택!


🧘‍♀️ IRP 투자 어떻게 하나요?

IRP 계좌 안에서는 예금, 펀드, ETF 등 자유롭게 운용 가능
초보자라면 아래 조합 추천드려요!

안정형 포트폴리오 (초보자용)

  • 국채 ETF 40%
  • 채권형 펀드 30%
  • 배당형 ETF 30%

성장형 포트폴리오 (공격적 투자자용)

  • 미국 ETF (S&P500) 50%
  • 나스닥 ETF 30%
  • 채권형 자산 20%

❗ 가입 전 주의사항

  • 중도 해지 시 세금 환급액 다시 토해내야 함
  • 60세 이전에는 연금 외 수령 어려움
  • 소득이 없거나 연말정산 안 하는 경우엔 혜택↓

👉 무리해서 납입하지 말고, 여유금으로만 운영하는 것이 좋아요!


💬 마무리하며…

IRP는 지금 당장 쓸 돈이 아니라
미래의 ‘내 삶의 질’을 위한 투자입니다.

특히 사회초년생 때부터 IRP를 꾸준히 활용하면
✔ 세금 줄이고
✔ 복리로 불리고
✔ 은퇴 후 든든한 연금 확보까지!

지금의 선택이 30년 뒤 나를 지켜줄 겁니다.
이번 달 안에 IRP 계좌, 하나 만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? 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