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사업자 등록할 때 꼭 묻는 그 질문…
“간이과세자 하시겠어요, 일반과세자 하시겠어요?”
이 말 듣고 멈칫한 분들 많죠?
"어떤 게 더 좋아요?"
"간이과세자는 간단한 거 아닌가요?"
"전 부가세 내기 싫어요..."
오늘은!
이 두 과세자 유형을 웃기고 쉽게,
진짜 찐 비교 분석 해드립니다.
🥊 간이 vs 일반, 대결 개요!
항목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
대상 | 연매출 8천만 원 이하 | 제한 없음 |
부가세 | 세금 덜 냄 / 환급 없음 | 10% 내고 환급 가능 |
세금계산서 발행 | ❌불가 | ✅가능 |
부가세 신고 | 연 1회 (1월) | 연 2회 (1월, 7월) |
고객사 신뢰도 | 낮음 | 높음 |
장점 | 간단하고 세금 적음 | 사업 확장 유리 |
단점 | 환급 불가, 거래처 제한 | 세무관리 복잡함 |
📌 간이과세자, 이런 분께 추천!
✔️ 연매출이 아직 작고
✔️ 거래처가 일반 소비자 위주이며
✔️ 세금계산서 발행 필요 없고
✔️ 소규모 쇼핑몰/블로그/프리랜서 하시는 분
🎯 예시:
- 스마트스토어 소규모 운영자
- 쿠팡 마켓플러스 부업러
- N잡 유튜버, 블로거
📌 일반과세자, 이런 분께 추천!
✔️ B2B 거래가 많고
✔️ 세금계산서 발행이 필요하며
✔️ 매출이 빠르게 커지고 있고
✔️ 비용 지출(세금 환급받을 거)이 많은 분
🎯 예시:
- 마케팅 대행사
- 개발 프리랜서
- 수입업, 도매업 하시는 분
- 광고비, 장비 구매가 많은 직종
💡혹시 나도 자동 일반과세자?!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강제 일반과세자!
- 연매출 8,000만 원 초과
- 간이과세 불가 업종(변호사, 병원, 부동산 중개 등)
- 직전 과세기간 중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
- 본인 선택으로 일반과세자로 신청했을 경우
👉 모르고 신청하면 나중에 후회합니다...
한 번 일반과세자로 바꾸면 다시 간이 못 돌아와요!
📣 사업 초기엔 간이 → 매출 커지면 일반으로!
1️⃣ 초창기엔 세금 덜 낼 수 있는 간이과세자로
2️⃣ 매출 성장하면 세금계산서 활용하려고 일반과세자로 전환
💬 단, 일반과세자로 변경은 세무서 신고 or 홈택스 신청 필수!
'청년정보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📮인스타그램 보너스 수익,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?- 1달러라도 받은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세금 신고법 - (1) | 2025.03.31 |
---|---|
📹블로그·유튜브 수익도 세금 내나요?콘텐츠 수익자의 현실 세금 가이드 (1) | 2025.03.31 |
💸부가세? 종합소득세? 이게 뭐야?프리랜서&자영업자가 꼭 알아야 할 세금 구분법 (0) | 2025.03.31 |
📦사장님, 온라인에서 팔고 싶으시죠?📮통신판매업 신고하는 법 (feat. 사업자 등록증 그 후) (1) | 2025.03.31 |
🔥직장인도, 백수도, CEO도 가능!📜사업자 등록증 만드는 법 (1) | 2025.03.31 |